디지털 시대의 마케터 취업을 준비하면서 전문 용어가 너무 많아 큰 어려움을 겪었던 기억이 생생해요. 제가 아는 광고는 TV 광고가 전부였는데, 디지털 광고는 종류도 다양하고 과금 방식도 다르고, 사용하는 용어들은 정말 외계어처럼 느껴졌죠. 이런 용어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마케터가 마법사처럼 보이더라고요. 하지만 아는 척하며 넘어갈 수 있는 것도 한계가 있어요. "이게 무슨 뜻이에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같은 질문을 받으면 답하기 어려운 순간이 오기 마련이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온라인 광고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광고 종류별로 깔끔하게 정리한 용어집이에요. 디지털 광고를 처음 시작하는 마케터, 혹은 퍼포먼스 마케팅에 도전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최대한 쉽게 풀어 썼습니다.
지금 당장은 바빠서 읽을 시간이 없을 수도 있겠지만, 일단 저장해두셨다가 필요할 때 꺼내 보세요. 이 용어집이 여러분이 디지털 광고에 더 자신감을 갖고, 전문 용어의 벽을 넘어서 마케터 취업 성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데 확실한 디딤돌이 되기를 바랍니다.
1. 검색 광고 용어
검색 광고(Search Ad, SA)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 키워드 검색 결과에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 광고주는 원하는 키워드를 구매하며, 이를 "타겟팅"한다고 표현.
키워드 종류
- 브랜드 키워드: 브랜드명 및 관련 키워드.
- 경쟁사 키워드: 경쟁 브랜드 및 상품명 키워드.
- 일반 키워드: 카테고리 및 관련 키워드.
- 관심사 키워드: 특정 관심사와 연관된 키워드.
검색 쿼리
사용자가 검색창에 입력하는 단어나 문장. 검색 광고 운영 시 키워드 선택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
입찰가
키워드 노출을 위해 광고주가 지불할 의향이 있는 금액. 품질지수와 함께 광고 순위 결정.
품질지수(Quality Score)
키워드와 광고 소재의 관련성을 평가한 지수. 높을수록 적은 비용으로 높은 순위를 확보 가능.
광고 소재
광고의 제목, 설명, URL 등으로 구성.
확장 소재
추가 정보(이미지, 전화번호, 가격 등)를 포함하여 광고 효과 증대.
광고 캠페인/광고 그룹
- 캠페인: 예산, 일정, 위치 등 설정.
- 그룹: 키워드, 소재, 입찰가, 랜딩 페이지 구성.
자동 입찰
클릭수, 전환수 등 목표에 따라 알고리즘이 입찰가 자동 조정.
일치 검색/확장 검색
- 일치 검색: 키워드와 동일한 쿼리에만 노출.
- 확장 검색: 유사 의미와 동의어까지 포함.
노출 점유율
가능한 노출 중 실제 내 광고가 차지한 비율.
클릭점유율
가능한 클릭 중 실제 내 광고가 차지한 비율.
2. 디스플레이 광고 용어
디스플레이 광고(Display Ad, DA)
웹사이트에서 배너, 동영상 등 형태로 광고를 노출.
리마케팅 광고
이전 방문자가 본 상품이나 페이지 광고를 다시 노출.
네이티브 광고
콘텐츠처럼 자연스럽게 보이는 광고로, 사용자의 거부감 감소.
인벤토리/구좌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공간과 개수.
CPP(Cost Per Period)
특정 기간 광고비를 고정으로 지불하는 방식.
프리퀀시
유저가 동일 광고를 평균 몇 번 봤는지 지표.
CTA(Call to Action)
"구매하기", "앱 다운로드" 등 유저 행동을 유도하는 요소.
3. 그로스 마케팅 용어
A/B 테스트
두 가지 버전 비교를 통해 성과가 더 좋은 것을 선택.
아하 모먼트
고객이 제품의 가치를 느끼는 결정적 순간.
PMF(Product Market Fit)
제품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상태.
퍼널(Funnel)
고객의 구매 과정 단계를 나타낸 모델.
AARRR
획득, 활성화, 매출, 유지, 추천 단계의 퍼널 프레임워크.
OMTM(One Metric That Matters)
현재 비즈니스에 가장 중요한 핵심 지표.
4. 성과 지표
ROAS(Return on Ad Spend)
광고비 대비 매출 성과.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한 명을 유치하는 데 드는 비용.
LTV(Lifetime Value)
한 고객이 평생 동안 가져오는 총수익.
CTR(Click Through Rate)
클릭률(광고 노출 대비 클릭 수).
이탈률(Bounce Rate)
사이트에 들어온 유저가 아무런 활동 없이 이탈하는 비율.
5. 광고 과금 방식
CPC(Cost Per Click)
클릭당 지불 비용.
CPM(Cost Per Mille)
1000번 노출당 지불 비용.
CPA(Cost Per Action)
유저가 특정 행동을 할 때만 지불.
CPS(Cost Per Sales)
실제 매출 발생 시 지불 비용.
6. 활용 팁
UTM Parameter
유입 경로 분석을 위해 URL 끝에 추가하는 코드.
DSP/SSP
- DSP: 광고주를 위한 광고 구매 플랫폼.
- SSP: 광고 매체를 위한 광고 판매 플랫폼.
7. 광고 집행 관련 용어
CPA (Cost Per Acquisition)
유저가 특정 행동(회원가입, 구매 등)을 할 때 광고비가 지불되는 방식.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주요 지표.
CPI (Cost Per Install)
앱 설치당 과금하는 방식. 모바일 앱 광고에서 자주 사용.
뷰쓰루 전환(View-Through Conversion)
광고를 클릭하지 않고 보기만 한 유저가 나중에 전환(구매 등)한 경우.
어트리뷰션(Attribution)
전환의 기여도를 광고 채널별로 분석하는 과정.
크리에이티브 최적화
광고 소재(이미지, 카피 등)를 데이터 기반으로 개선하는 작업.
리타겟팅(Retargeting)
특정 행동(장바구니 담기 등)을 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시 광고를 노출하는 기법.
프로그래매틱 광고(Programmatic Advertising)
인공지능 기반으로 광고를 자동화 구매 및 최적화하는 방식.
8. 분석 및 데이터 관련 용어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광고 및 캠페인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핵심 지표.
세그먼트(Segment)
고객 데이터를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
동일한 행동을 한 유저 그룹의 패턴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하는 방법.
GA (Google Analytics)
웹사이트 및 앱의 방문자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필수 툴.
CTR (Click Through Rate)
클릭률, 광고 노출 대비 클릭 비율.
CVR (Conversion Rate)
전환율, 클릭한 유저 중 실제 전환에 이른 비율.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 대비 수익률. 광고 캠페인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필수 지표.
데이터 레이어(Data Layer)
웹사이트에서 태그 관리 및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
9. 고객 여정 및 퍼널 관련 용어
퍼널(Funnel)
고객이 구매를 완료하기까지의 단계를 시각화한 모델.
리텐션(Retention)
고객 유지율, 고객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나 제품을 사용하는 비율.
리드(Lead)
잠재 고객 데이터를 의미. 고객을 구매 전환으로 유도하기 위한 첫 단계.
LTV (Lifetime Value)
고객이 평생 동안 가져오는 총 매출 가치.
MQL (Marketing Qualified Lead)
마케팅 활동을 통해 발굴한 관심도 높은 잠재 고객.
SQL (Sales Qualified Lead)
영업 팀이 직접 연락할 수 있을 정도로 구매 의사가 높은 리드.
D2C (Direct to Consumer)
중간 유통업체 없이 브랜드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
10. 마케팅 자동화 및 플랫폼 관련 용어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리하며, 고객 경험을 최적화하는 시스템.
CDP (Customer Data Platform)
여러 채널에서 수집한 고객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
MA (Marketing Automation)
이메일, SMS, 웹 푸시 등의 마케팅 활동을 자동화하는 툴.
브레이즈(Braze)
CRM 및 개인화 마케팅을 위한 대표적인 플랫폼.
UTM 파라미터
마케팅 채널 및 캠페인 성과를 추적하기 위해 URL에 추가하는 코드.
SDK (Software Development Kit)
앱 광고 분석 및 추적을 위해 사용하는 개발 도구 모음.
11. 기타 유용한 용어
브랜드 리프트(Brand Lift)
광고를 본 이후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 변화.
엥게이지먼트(Engagement)
유저가 광고와 상호작용한 정도. 클릭, 좋아요, 댓글 등을 포함.
소셜 리스닝(Social Listening)
소셜 미디어에서 소비자의 의견과 트렌드를 분석하는 방법.
퍼블리싱(Publishing)
광고 캠페인 또는 콘텐츠를 라이브로 전환하는 과정.
실무 준비를 위한 팁
- 기본 분석 툴 학습:
Google Analytics, Adobe Analytics 등 데이터 분석 도구 활용법 익히기. - 광고 플랫폼 이해:
Google Ads, Facebook Ads Manager 등 광고 집행 도구 실습. - 자동화 도구 경험:
브레이즈(Braze), 세일즈포스 마케팅 클라우드(Salesforce Marketing Cloud) 등 활용 능력 필수. - 디지털 마케팅 동향 파악:
최신 광고 트렌드 및 플랫폼 업데이트 정기적으로 확인.
'레토의 마케팅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그로스 마케터 신입 채용 완벽 분석 (연봉부터 필수 역량까지) (0) | 2025.01.31 |
---|---|
2025 디지털 마케터 취업 완벽 가이드 - 현직자가 알려주는 마케터 취업 트렌드 (0) | 2025.01.30 |
마케터 취업을 위한 데이터 분석 입문하기 - SQL 기초 문법 (0) | 2024.12.29 |
브레이즈 braze 에서 자주 사용 되는 용어 Top 100 (0) | 2024.12.29 |
데이터 택소노미(Data Taxonomy) 구축 비법. 효과적인 데이터 분류 체계 구축하기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