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의 & 컨설팅 기록

강연 후기. 플랫폼 운영 관리를 위한 구글 애널리틱스(GA) 활용 강의 –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원 50여 명과 함께한 데이터 기반 플랫폼 관리 첫 걸음 2024-11-05

by 레토 reto 2024. 11. 5.
728x90
반응형

 

마케팅

 

 

강의 배경, 목표

 

마케팅

 

최근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원분들을 대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GA) 활용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후기를 통해 강의 내용과 함께 데이터 분석에 대한 중요성을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우리나라 과학 및 창의력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입니다. 그러나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운영이 상대적으로 낯선 환경에 있습니다. 이번 강의는 재단의 연구원 약 50명을 대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GA)를 활용하여 플랫폼 운영의 기본을 학습하고 외부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플랫폼 관리에 있어 GA의 기초 지식 확보. 기업에서는 이미 GA를 통한 데이터 분석과 플랫폼 운영이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재단에서는 이를 새롭게 시작하는 단계이기에, GA의 기본적인 활용법을 익히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재단 담당자분들이 GA를 사용해 데이터를 해석하고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기본기를 다지기 위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외부 업체에서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 외부에서 제공받은 데이터가 다양하게 쌓이지만, 이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데이터를 적절히 해석해 재단 플랫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마케팅
마케팅

강의 커리큘럼 개요

이번 강의는 기초적인 데이터 분석에 처음 입문하는 연구원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강의 커리큘럼은 크게 6가지로 구성되었으며, 각 항목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

GA4, 믹스패널, 앰플리튜드 등 주요 분석 툴 비교
GA4, 믹스패널(Mixpanel), 앰플리튜드(Amplitude)와 같은 분석 툴들이 각기 어떤 강점과 용도를 갖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분석 툴의 특성과 효용성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GA4는 웹과 앱의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지원하며, 믹스패널과 앰플리튜드는 보다 세분화된 사용자 행동 분석에 강점이 있습니다.

GA4의 주요 용어와 기본 설정 이해하기
세션(Session), 사용자(User), 이탈률(Churn Rate), 전환율(Conversion Rate) 등의 기본 용어와 GA 설정 방법을 소개하여 GA4의 사용법을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했습니다. 기본 용어부터 차근차근 이해하게 함으로써 GA4의 설정과 보고서 해석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도왔습니다.

GA4 보고서의 구조와 종류 이해하기
GA4 보고서는 컬렉션, 주제, 보고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보고서에는 ‘개요 보고서’와 ‘세부정보 보고서’가 있습니다. 개요 보고서에서 전체 데이터를 간략히 살펴보고, 세부정보 보고서에서 좀 더 심층적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했습니다.

유입 사용자 분석하기
UTM 파라미터를 통해 어떤 경로로 사용자가 유입되었는지, 캠페인 별로 유입된 트래픽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재단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캠페인이 플랫폼의 트래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분석할 수 있게 도왔습니다.

GA4 실습 팁 공유
실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기본기를 다질 수 있도록 실습 팁을 제공했습니다. 특히 GA4 데모 계정을 연결해보는 방법을 설명하며,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해볼 수 있도록 안내했습니다.

 

 

주요 강의 내용 및 참가자 반응


강의 내용 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인 부분은 GA4와 믹스패널, 앰플리튜드의 비교였습니다. 각 툴은 데이터 분석의 특정 영역에 강점이 있는데, GA4는 무료로 제공되어 대중적인 접근성을 가진 툴인 반면, 믹스패널과 앰플리튜드는 보다 심층적인 사용자 행동 분석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특히 믹스패널은 UX/UI가 직관적이며, 러닝커브가 낮아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또한 GA4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보고서 기능을 설명하면서, 재단에서 앞으로 유입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제 사례들을 다루었습니다. GA의 기본 용어와 설정을 익히는 것만으로도 보고서를 통해 데이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며 큰 흥미를 나타냈습니다.

 

강의에서 강조한 핵심 포인트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
데이터를 분석하는 목적은 결국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것입니다. 특히 플랫폼 운영에서는 어떤 채널에서 유입이 많은지, 사용자들이 특정 페이지에서 얼마나 머무는지, 이탈률은 어떤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GA4 기본 설정의 필요성
GA4는 무료로 제공되는 대중적인 분석 툴이지만, 설정이 잘 되어 있지 않으면 데이터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과 필터링 작업을 잘 수행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GA4가 제공하는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임을 강조했습니다.

다양한 분석 툴을 비교하여 적절한 도구 선택하기
많은 기업과 재단이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구로 GA4를 사용하고 있지만, 데이터 분석의 목적과 필요에 따라 믹스패널이나 앰플리튜드와 같은 다른 툴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툴의 특성과 가격, 그리고 각 툴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비교하여 자신의 데이터 분석 목표에 맞는 툴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강의 후 느낀 점 및 향후 계획


이번 강의를 통해 재단의 연구원들이 데이터 기반 플랫폼 운영의 기초를 다질 수 있었던 것에 대해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와 같은 분석 툴을 이용하여 플랫폼 운영을 개선하는 과정은 모든 조직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재단과 같은 공공 기관에서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중요하게 여겨지며, 향후 지속적인 교육과 실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강의를 진행하면서 GA4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해석하는 법을 습득한 연구원들이 앞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단의 플랫폼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됩니다. GA4 외에도 믹스패널과 앰플리튜드와 같은 다른 툴을 통해 더 심도 깊은 분석을 시도해보며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길 바랍니다. 

 

향후에도 GA4, 믹스패널, 앰플리튜드 등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 툴을 활용한 강의를 통해 많은 분들이 데이터 기반 마케팅과 플랫폼 운영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강의 대상자들이 각자의 플랫폼 환경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더 많이 공유하며,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기타 문의

바로가기 >

728x90
반응형